학문---과학-- 형식과학(수학,논리학) , 경험과학(자연과학,사회과학,인문학)--->경영학
철학 (윤리학,미학,종교학)
경영학의 양면성
과학이자 기술로서 경영학
이론이자 실천으로서 경영학
경영학
과학(science) -경영현상의 이론적 연구(이론과학)
기업목표에 대한 효과,효율성 연구(실천 과학)
기술(기업,art)
경영학의 학문적 성격이 현실적용에 있다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기술적 측면의 존재
이론-경영현상의 이론적 연구(이론과학)
실천(practice)=기업목표에 대한 효과 ,효율성 연구(실천과학)
경영학을 공부하는 이유
인과관계를 체계적 논리적으로 밝힘으로써 경영자로 하여금 현실적 문제해결방법을 제시
다른 사람에게 경영을 가르치기 위함
-경영자와 관리자의 경영도구
우리삶의 질을 높이는 직접적 도구
인간은 사회적 동물
인간은 조직을 필요로 하고 조직 속에서 살 수밖에 없으며 , 제한된 힘을 합쳐 공동체를 만들고 그 공동체를 통하여 공통된 목표를 추구한다.
조직의 정의
개인들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호작용을 전개하는 구조적 과정
다수의 인간들이 공통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을 하고 조정을 행하는 유기적인 행동의 집합체
조직과사회:조직은 인간의 사회적욕구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
경제활동을 위한 조직: 정부,기업,가계
정치적 목적을 위한 조직: 정당등
종교적 목적을 위한 조직: 종교단체
조직의 특성(공동목표+분업+권한체계+고유한 운영법칙_
공동의목표( 조직의 의사결정 기준)
분업을 통해 협력(구성원의 능력에 따라 업무분담)
권한체계(목표달성을 위한 지휘,조정,통제 기능)
고유한 운영법칙이나 규율(조직 목적에 따른)
조직의 구성요인
-조직은 여러 요소들의 유기적인 집합체
-인간(조직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
-조직구조(조직의 틀,조직의 특성에 의존)
-과업(조직구조 속에서 해야 할 일)
-기술(과업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방법)
-시설 및 자금 (조직의 물리적 경제적 기반)
시너지효과-조직을 통한 결과가 구성원 개인의 노력의 산술적 합보다 크게 나타나는 상승효과
기업의 정의
조직은 다수의 인간들이 공통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을 하고 조정을 행하는 유기적인 행동의 집합체라고 할수있다. 이를 기업이라는 관점에서 정의를 내리면 다음과 같다.
기업은 다수의 인간들이 그들의 공통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투입에 비해 보다 많은 산출을 생산하는 경제성의 원칙에 따라 운영되는 유기적인 행동의 집합체이다.
기업이란 무엇인가에서 기업의 본질에 대한 질무은 기업을 바라보는 관점인 기업관에 따라 다르다. 그러나 기존의 여러 기업관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특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이윤을 추구하는 조직체: 경제성원칙(가장 유리한 생산요소의 결합)에 입각한 수익성 추구
2.사회적 특성을 갖는 조직체:내부적 특성(구성원 간의 관계),외부적특성:(주주,채권자,경쟁기업,소비자,지역사회 등)
3.본질적으로 생산기능을 수행하는 조직체: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재화나 서비스 생산
4.기술적 특성을 갖는 조직체:생산기능의 효율적 수행을 위한 경쟁우위의 기술이 요구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