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설치를 위한 RPM 


rpm 


rehat package manager

레드햇에서 배포한 패키지 매니저

패키지는 명령어의 모임인개념도 있다

윈도우처럼  setup.exe 더블클릭하면 진행되는 방식


확장명은 *.rpm이고 이를 '패키지'라고 부름


파일의 의미


gedit-3.8.3-6.el7.x86_64.rpm


gedit :패키지의 이름

버전 3.8.3 주버전,부버전,패치버전

릴리즈번호 -6 문제점 개선시마다 붙여지는 번호

CentOS버전: el7-->CentOS에서 배포할 경우에 붙여짐

아키텍처: x86_64  64비트 CPU를 의미


86_64: 64비트 cpu

i386~686: 32비트 cpu

src: 소스

noarch:모든 CPU



설치 : rpm -Uvh 패키지파일이름.rpm

U: (대문자) 패키지가 설치/업그레이드

v ->설치과정의 확인

h 설치진행과정을 #마크로 화면에 출력


삭제 rpm -e 패키지 이름

이미 설치된 패키지 질의


rpm -qa 패키지 이름 패키지가 설치되엇는지 확인


rpm -qf 파일의 절대경로 

->파일이 어느 패키지에 포함된 것인지 확인


rpm =qlp 패키지파일이름.rpm

패키지 파일에 어떤 파일들이 포함되었는지 확인


rpm -qip 패키지파일이름.rpm 패키지파일의 상세정보


rpm단점 a가필요할경우 b도설치



단 삭제할 때는 


rpm -e mc mc패키지 삭제

패키지 파일이름전체가 아닌 패키지 이름만


mc가 패키지이름이면 

만약 rpm -e 패키지파일이름


rpm -e mc-4.8.7-8.el7.x86_64.rpm 

오류: mc-4.8.7-8.el7.x86_64.rpm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root@localhost Packages]# rpm -e mc 

삭제 완


그후 rpm -qa mc


g



yum -y install 패키지

y안물어보고 바로 설치


yum install 패키지

yum이 rpm의 의존적인 설치들을 전부 대신해서 인터넷에 

연결하여 관련 의존성있는 패키지까지 자동설치해줌

중간에 y/n 옵션으로 예아니오 물어봄


yum remove 패키지

패키지 삭제할때 바로 됨



yum도 내부적으로는 rpm으로 깔아진다.

rpm을 직접 하는건아니지만 결국 안에서 함


rpm파일설치 yum localinstall rpm파일이름.rpm

업데이트 가능목록보기 yum check-update

yum update 패키지이름

yum remove 패키지이름

정보확인 : yum insfo


yum groupinstall "패키지 그룹설치"


기존 저장소 목록 지우기 

yum clean all 


파일유형 

-는 일반파일

d는 디렉토리

l은 링크파일(바로가기)


3개기억

파일허가권 rwx-rwx-rwx


소유자 그룹 기타사용자


chmod 777

chmod 755

chmod 655


모드를 변경 


chown blackbox.blackbox sample.txt

chown blackbox:blackbox sample.txt


권한 변경


ls -l 리스트파일 자세히 보여줌

./test

현재디렉토리에 있는파일을 직접 실행해라


chmod는 아무나 사용가능

chown은 루트만사용한다고 보면됨



일반사용자가 루트사용자 바꿀수없음 



심볼릭링크 사용가능 

chmod o-x test


모드를 바꿔라 o일반사용자 -x실행권한을 test (파일)


test 


소유주와 그룹에서 쓰기권한을 뺀다

chmod ug-w test


 

소유주와사용자에게 읽기쓰기권한을 더한다

chmod ug+rw test



심볼릭링크는 기존꺼자세히 안봐도

확실하게 할수잇음


장단점있음


윈도우 바로가기개념은 심볼릭링크 개념


원본파일이 있다.

inode 파일의 위치 크기 나 정보가잇다


원본파일 이생기면 데이터블록과 inode블록이있다


ls il basefile


basefile의 아이노드를 볼수있음

맨앞에 나오는 숫자가 아이노드


하드링크를 생성하면 하드링크파일만 하나상생되며

같은 inode1을 사용

명령 : # ln 링크대상파일이름 링크파일이름 


심볼릭 링크를 생성하면 새로운 inode2를 만들고,데이터는 원본 파일을

연결하는 효과

명령:# ln -s 링크대상파일이름 링크파일이름




vi basefile


ls -il basefile


ln basefile hardlink

ln -s basefile softlink

ls -il 


cat hardlink


cata softlink


만약 원본파일을 없애면

하드링크파일과 소프트링크파일은 어떻게 될까



원본파일은 상위로 이동하면

mv basefile ../


하드링크는 원본파일의 아이노드를 가리키므로 바로 원본데이터 접근


소프트링크심볼릭링크는원본데이터파일포인터이므로

원본이사라지면그디렉토리안에서찾을수가없기때문



mv ../basefile .


상위디렉토리의 basefile을  현재디렉토리 .으로 옮겨라



useradd myuser


'myuser'라는 유저추가


cd /etc/passwd


유저정보를 볼수있는 커맨드


tail -5 /etc/passwd


tail -5 끝에서 5줄 출력


cd /etc/group


group정보볼때 경로변경


groupadd centosGroup 


centosGroup이라는 그룹추가




useradd -g centosGroup user1

useradd -g centosGroup user2


user1을 centosGroup그룹에 추가한다



패스워드 볼려면 

tail -5 /etc/shadow




yum -y install system-config-users

시스템컨피그 유저 패키지


명령 유저 상세 볼수잇음 x윈도우에서


system-config-users

사용자 상황 볼수있음 명령


userdel -r user1 

폴더까지 삭제 명령


자주사용하는커맨드

useradd

usermod


passwd


groupadd


사용자 /etc/passwd

그룹 /etc/group





https://m.youtube.com/playlist?list=PLaTc2c6yEwmri-zWdaserm5wb1GdqR9t0
어떻게창업자가 되었는가 이택경창업자님의
스토리
https://outstanding.kr/createdaum20190213/
슈트미
https://suitee.me/2019/02/13/how-to-setup-free-ssl/

마이크로소프트웨어 395호 데이터 탐험(Data Adventure) – 마이크로소프트웨어 - https://www.imaso.co.kr/archives/4654
엘라스틱서치 웹비나
https://www.elastic.co/kr/webinars/getting-started-logstash?ultron=elasticsearch-webinar-replay&blade=facebook&hulk=cpc
종자산업글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2/10/2018021000170.html

완벽한공부법


기억


어렵게공부하면 잊기도 어렵다


인출할려는 노력


글쓰기,인출


강의듣거나 수업을 듣는것은 뇌의 교감신경이 비활성화 되어서 

효과가 적고


수업을 듣고 강의를 듣고 토론,요약,글쓰기,시험등을 해야

장기기억이 남는다


그중 시험이 가장 좋고

분산해서 1주일간격이나 하루간격으로 공부하는것이 좋다

전문가들은 하루간격 공부를 추천 


시험효과 가장좋은 효과 시험을 보면서 장기기억에 좋음

인출효과 배우고 이걸 인출해서 표현하면서 더욱더 기억에 좋다

분산연습효과  하루,일주일 간격으로 공부하면 더욱더 효과가 좋다

교차효과 같은과목을 집중해서 하는것 보다 과목끼리 교차하면서 어렵게

배우는것이 효과가 더욱 좋다 


1.자기참조효과 정보를 자신과 관련시킬떄 더많은 정보를 기억할 수 있음

2.맥락효과 기억해 낼때의 맥락이 공부할 때의 맥락과 유사할 떄 기억을 잘해낼 수 있다. 시험을 보는시간,장소가 비슷해야 기억을 더 잘해냄


3.심상활용 1-닭 닭이 담배를 피운다는 느낌으로 외우면 더욱 잘외워진다.

이미지를 활용해서 기억하면 좋고 이미지가 괴이할수록 좋다 예시는 1-닭


4.조직화: 기억을 할 떄 비슷한 속성끼리 분류화 하거나 상위화 하위화식으로 위계를 세우면 더욱 잘 기억한다는 연구결과가있고 효율은 3배

프로그래밍으로 보면 부모-자식관계 및 카테고리별 정리법 정도로 보면될것같다


5.첫 낱자 조합기법 첫글자따서 외우는것이다.

태정태세문단세 등


공부를 열심히 할수록 집중력이 올라간다.


어렵게공부하면 잊기가 어렵다 

'기타 >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장을 위한 회계  (0) 2022.01.08
연세대 필독도서 추천  (0) 2021.03.17
정약용 그얼마나 좋을까 (1)  (0) 2021.03.17
[대학]에서 읽고 좋았던 부분  (0) 2021.03.17
명언_ 미하이 칙센트 미하이  (0) 2020.02.01

+ Recent posts